긴테쓰 나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테쓰 나라선은 일본 오사카부와 나라현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후세역에서 킨테츠나라역까지 총 26.7km 구간을 운행한다. 1435mm 궤간에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되었으며, 19개의 역이 있다. 최고 속도는 105km/h이며, 2022년 혼잡률은 114%였다. 오사카난바역에서 킨테츠나라역까지는 32.8km 구간으로, 24개의 역이 있다. 1914년 오사카 전기 궤도에 의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노선 연장과 역명 변경을 거쳤다. 현재는 특급, 쾌속 급행, 급행, 준급, 보통 열차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며, 한신 난바선과 직통 운행을 통해 고베 산노미야까지 운행하기도 한다.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에 맞춰 직통 특급 운행을 검토하고 있으며, 헤이조 궁터 부근의 선로 이설 및 신역 설치 계획도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가시마선
가시마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제1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가 제2종 철도 사업자로서 운영하는 총 길이 17.4km의 철도 노선으로, 가시마 임해 공업지대 개발과 함께 부설되어 나리타선 직결 운행을 통해 도쿄 방면과 연결되며 화물 운송의 역할도 수행한다. - 197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긴테쓰 난바선
오사카난바역과 오사카우에혼마치역을 잇는 긴테쓰 난바선은 긴테쓰의 철도 노선으로, 나라선의 연장선 역할을 하며 한신 난바선과의 직통 운전을 통해 고베 방면으로 연결되고, 1970년 오사카 만국 박람회에 맞춰 개업했으며, "킨테쓰 난바선 대단면 쉴드 터널"은 토목 유산으로 인정받았다. - 나라현의 철도 - 야마토지선
야마토지선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가모역과 JR난바역을 잇는 54.0km의 복선 전철화 노선으로, 나라와 오사카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수단이며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2024년 새로운 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나라현의 철도 - 긴테쓰 고세선
긴테쓰 고세선은 일본 나라현에 있는 킨키 닛폰 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총 5.2km 구간에 4개의 역이 있으며, 오사카아베노바시역 등과 직통하는 열차가 운행된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원선
경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개통된 서울과 원산을 잇는 철도 간선으로, 광복 후 남북 분단으로 인해 현재는 남한 구간만 운행 중이며, 남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 구간 운행 재개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 191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긴테쓰 나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중전철 통근 열차 |
노선 체계 | 긴테쓰 |
노선 상태 | 운행 중 |
노선 위치 | 히가시오사카시, 오사카부, 일본 이코마시, 나라현, 일본 나라시, 나라현, 일본 |
기점 | 오사카난바역 |
종점 | 긴테쓰나라역 |
역 수 | 24개 역 (긴테쓰 오사카 선 22개 역, 긴테쓰 난바 선 2개 역) |
개통일 | 1914년 4월 30일 |
소유주 | 긴테쓰 |
운영자 | 긴키 닛폰 철도 |
차량 기지 | 히가시하나조노 사이다이지 |
노선 특성 | 중전철 통근 열차 |
노선 번호 | A |
노선 길이 | 26.7km |
선로 수 | 복선 |
열차 보호 장치 | 긴테쓰 ATS |
최대 경사 | 3.57% |
신호 방식 | 자동 폐색 |
궤간 | 1,435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
최고 속도 | 105km/h |
노선도 | |
![]() | |
일본어 정보 | |
노선 이름 | [[파일:KintetsuLogo.svg|19px|긴키 닛폰 철도|link=근키 닛폰 철도]] 나라 선 |
노선 색상 | '#d21644' |
역 수 | 19개 역 |
차량 기지 | 히가시하나조노 검차구 사이다이지 검차구 |
최대 경사 | 35.7‰ |
최고 속도 | 105km/h |
한국어 정보 | |
노선 이름 | [[파일:Kintetsulogo.png|25px]] 긴테쓰 나라 선 |
기점 | 후세역 |
종점 | 긴테쓰나라역 |
역 수 | 19개 |
전철화 | 전 구간 직류 1,500V |
영업 최고 속도 | 105km/h |
운행 정보 | |
사용 차량 | 차량 (자세한 내용은 '차량' 섹션 참조) |
역사 | |
개업 | 1914년 4월 30일 |
폐지 | 해당 없음 |
기타 정보 | |
노선 기호 | [[파일:KT number-A.svg|20px|A]] |
노선 정보 (역 목록) |
2. 노선 정보
- 노선 거리(영업 킬로): 후세역 - 긴테쓰 나라역 간 26.7km
- 궤간: 1435mm
- 역 수: 19개 역 (기점 및 종점역 포함)
- 복선 구간: 전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전철화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최대 경사: 35.7 ‰ (마이오카역 - 이시키리역, 히가시이코마역 - 도미오역)
- 최고 속도: 105 km/h
- 운전 지령소: 오사카 종합 지령실・나라선 담당(긴테쓰나라 지령)
- 2022년도 혼잡률: 114%(가와치코사카역 → 가와치나가와역 7:41-8:41)
전 노선이 오사카 통괄부의 관할이다.
여객 안내 및 운전 계통상의 나라선은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 나라역 간 32.8 km, 24개 역(기점 및 종점역 포함)이다.
3. 역사
긴테쓰 나라선은 1914년 개업한 긴테쓰의 직계 모체인 오사카 전기 궤도의 창업 노선이다. 이코마 산지를 신 이코마 터널(3,494m)로 지나 오사카부와 나라시를 최단 루트로 연결하고 있다.[3] 개업 이후 오사카우에혼마치역을 출발역으로 해왔지만, 1970년 난바선이 개통하면서 나라선의 실질적인 기점은 오사카난바역으로 옮겨졌다.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역 - 후세역 간은 방향별 복복선으로, 나라선과 오사카선의 열차가 함께 달린다.
한신 전기 철도의 한신난바선이 개통된 2009년 3월 20일부터 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의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두 역 사이를 최단 70분대로 연결한다.[73]
1977년 오사카난바역부터 야에노사토역 동쪽의 오사카부도 2호선 오사카 중앙 순환선 부근까지 입체교차화가 완성되었고, 2003년에는 야에노사토역 - 효탄야마역의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이 착수되었다. 2010년 5월 30일 하행선이 완성되었고, 2014년 9월 21일 상행선이 완공되면서 와카에이와역, 가와치하나조노역, 히가시하나조노역이 고가 역이 되었다.[19]
문화청에 의한 헤이조 궁 흔적 정비 사업 계획 내를 횡단하고 있는 나라현도 104 호 다니다 나라 선 및 긴테쓰 나라선 이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앞으로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주변을 포함하는 지하화 또는 이설 가능성이 있다.
전 구간에서 스룻토 KANSAI 대응 카드와 PiTaPa 및 ICOCA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J 스루 카드가 각 역의 자동발매기에서 승차권을 교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2010년 헤이조쿄 천도 1300년을 기념하여 헤이조 궁터를 가로지르는 긴테쓰 나라선에 보행자 전용 건널목 "주작문 건널목길"이 신설되었다.[22]
- 연혁
연도 | 사건 |
---|---|
1914년 (다이쇼 3년) | |
1915년 (다이쇼 4년) 6월 15일: 하나조노역 개업. | |
1920년 (다이쇼 9년) 7월 13일: 누카타역 개업. | |
1921년 (다이쇼 10년) 10월 - 1922년 3월경: 닛쿠사역을 와시오역으로 개칭. | |
1922년 (다이쇼 11년) | |
1923년 (다이쇼 12년) 9월 9일: 아야메이케역 개업. | |
1925년 (다이쇼 14년) | |
1928년 (쇼와 3년) 8월: 고사카역을 다이키고사카역, 이코마역을 다이키이코마역, 나라역을 다이키나라역으로 개칭.[45] | |
1929년 (쇼와 4년) | |
1932년 (쇼와 7년) 12월: 하나조노역을 다이키하나조노역, 사이다이지역을 다이키사이다이지역으로 개칭.[45] | |
1936년 (쇼와 11년) | |
1937년 (쇼와 12년) 4월 22일: (임시) 인노미치역 휴지. | |
1938년 (쇼와 13년) 2월 1일: 다이키 에이와역 개업[46](인노미치역의 연중 영업화). | |
1940년 (쇼와 15년) 6월 1일: 와시오역을 코샤에자카역으로 개칭. | |
1941년 (쇼와 16년) | |
1942년 (쇼와 17년) | |
1944년 (쇼와 19년) | |
1947년 (쇼와 22년) 3월 27일: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아부라사카역 사이에 (임시) 캠프・카역 개업. | |
1948년 (쇼와 23년) 3월 31일: 이코마 터널 내 내리막에서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열차가 폭주, 가와치하나조노역에서 선행 열차에 추돌하여 49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 (킨테츠 나라선 열차 폭주 추돌 사고 참조). | |
1950년 (쇼와 25년) 12월 10일: (임시) 럭비 운동장 앞역을 럭비장 앞역으로 영업 재개. | |
1951년 (쇼와 26년) 7월 1일: (임시) 캠프・카역 폐지. | |
1953년 (쇼와 28년) 4월 1일: 치무라역을 토미오역으로 개칭. | |
1956년 (쇼와 31년) | |
1961년 (쇼와 36년) 9월 21일: 우에혼마치역 - 효탄야마역 간에 대형 차량 운전 개시. | |
1964년 (쇼와 39년) | |
1967년 (쇼와 42년) | |
1968년 (쇼와 43년) 3월 20일: 히가시이코마역 개업. | |
1969년 (쇼와 44년) | |
1970년 (쇼와 45년) | |
1972년 (쇼와 47년) | |
1973년 (쇼와 48년) 9월 21일: 킨테츠 난바역 - 킨테츠나라역 간에 유료 특급 운전 개시. | |
1977년 (쇼와 52년) 6월 26일: 후세역 서쪽 - 야에노사토역 동쪽 간의 고가화 완성. 이에 의해 킨테츠 난바역에서 야에노사토역 동쪽(오사카 중앙 순환선)까지 완전 입체 교차가 됨. | |
1980년 (쇼와 55년) 3월 17일: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킨테츠 난바역 간에 쾌속 급행의 일부와 특급 1편으로 간사이 사철 최초의 10량 편성 운전을 시작. | |
1982년 (쇼와 57년) 3월 18일: 킨테츠나라역 발 쾌속 급행으로 10량 운전을 시작. 그러나 동 역에서는 홈 연장 미실시로 인해 2량분 도어 컷을 시행. | |
1986년 (쇼와 61년) 3월 18일: 급행의 정차역에 이시키리역을 추가. | |
1988년 (쇼와 63년) 3월 18일: 킨테츠나라역의 홈 연장 공사 완성으로 인해 10량 편성 운전을 본격 실시. | |
1992년 (헤이세이 4년) 12월 20일: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KOSMOS) 가동 개시.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4월 1일: 승하차 확인 시스템 "페어 시스템 K" 가동 개시.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3월 16일: 평일 낮의 한나 특급(상하 12편)을 폐지.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15일: 시리즈 21(3220계) 영업 운전 개시. 신오미야역의 홈 연장 공사(8량분→10량분)가 완성되어 쾌속 급행의 정차역에 신오미야역을 추가. 동시에 준급의 대부분을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으로 변경.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3월 20일: 평일 저녁에 킨테츠 난바발 킨테츠나라행 특급 2편(킨테츠 난바발 17:35, 18:35)을 증편.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3월 21일: 준급의 정차역에 히가시하나조노역을 추가. 또한, 낮에 구간 준급을 신설.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각 역에서 PiTaPa, ICOCA의 취급 개시.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6일: 평일 야간에 오사카 난바발 킨테츠나라행 특급 1편을 증편. 그 증편 열차에는 한나 특급으로는 처음으로 21020계 (어반 라이너 next)를 충당(명한갑 특급의 왕복 운행을 충당). 또한, 이날부터 디럭스 시트 요금(200엔)의 징수를 시작.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3월 21일: 평일 아침에 야마토사이다이지발 오사카 난바행 특급 1편을 증편.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3월 17일: 23000계(이세시마 라이너)의 한나 특급 운용을 재개. |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3월 19일: 평일 야간대에 상행 쾌속 급행을 1편 증편. 하행 최종 구간 준급 열차를 오사카 난바 23:55발로 변경하여 행선지를 킨테츠나라행으로 변경, 오사카 난바역 - 쓰루하시역 간에서 마이오카역 이토의 종전을 6분 연장. | |
2020년 (레이와 2년) 3월 14일: 한나 특급에서 80000계 (히노토리)가 영업 운전을 시작.[57] | |
2029년 (레이와 11년): 오사카 모노레일본선의 연장에 맞춰, 야에노사토역 - 와카에이와타역 간에 우리우도역(가칭)을 설치 예정.[58] |
3. 1. 오사카 전기 궤도 시대
1914년 오사카 전기 궤도에 의해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복선 및 600V 직류 전철화되었다.[3]오사카와 나라를 연결하기 위해 JR 서일본 야마토지선이 이코마 산맥 남쪽을 경유하는 반면, 긴테쓰 나라선은 이코마 산맥을 통과하는 터널을 이용한다.[4] 그 결과, 긴테쓰 노선은 더 직접적인 노선이 되었으며 이코마와 같은 노선상의 지자체가 주요 통근 거점으로 번성할 수 있게 하였다.[5] 높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철도는 피크 시간대에 급행 및 특급 열차를 운행하며 최대 10량의 열차를 운행한다.[5] 이러한 직접적인 노선 덕분에, 나라선은 긴키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통근 철도 노선으로 여겨진다.[6] 수년에 걸쳐 수요가 증가하면서 긴테쓰가 피크 시간대에 더 높은 빈도의 특급 열차를 운행하게 됨에 따라 낮 시간대의 더 빠른 운행 횟수가 점차 줄어들었다.[7]
긴키 닛폰 철도의 직계 모체 회사인 '''오사카 전기 궤도'''(대궤)의 첫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본선 개통 전에는 이코마 산맥의 북쪽을 우회하는 루트로 가타마치선(학연도시선)이, 남쪽을 우회하는 루트로 간사이 본선(야마토지선)이 이미 개통되어 있었다. 두 노선 모두 이코마 산맥을 피해 장대 터널 건설을 피하는 형태였으며, 소요 시간 면에서 불리했다. 이들 루트 주변의 마을은 당시 아직 발전하지 않아, 경쟁 노선을 부설해도 충분한 수익이 나올 전망도 없었다. 그래서, 오사카 전기 궤도는 이코마 산을 일직선으로 관통하여 오사카와 나라를 최단 거리로 직결하는 루트를 선택하였다. 당초에는 터널 굴착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케이블카 사용까지 검토되었다고 하지만, 동사의 설립에 진력한 이와시타 기요치카의 주장과 오바야시구미(大林組)의 기술에 의해, 길이 3,338m의 이코마 터널을 굴착하고, 이코마 산의 등반 구간에 생기는 급경사를 고출력 전차(데보 1형)로 넘는 안이 채택되었다. 이코마 터널 굴착에는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었고, 마지막에는 사장 이와시타가 사재를 털어 건설을 속행시켰다는 일화도 남아 있다. 이 일본 최초의 표준궤 복선 터널은 난공사였고, 그에 따른 자금난으로 공사를 맡았던 오바야시구미는 존속의 위기에 직면했다.[41]
오사카와 나라 사이를 최대한 직선 루트로 연결했기 때문에, 개업 초창기에는 연선 인구가 적었고, 이코마 산의 호잔지(宝山寺)나 나라로 향하는 관광객이 주요 승객이었다. 따라서 수입은 날씨에 좌우되었고, 동사의 사원은 항상 날씨에 신경을 썼다고 한다. 그래서, "오사카 전기 궤도"가 아니라 "''오사카 날씨 궤도''"라고 조롱받기도 했다.
3. 2. 긴키 닛폰 철도 시대
1914년 오사카 전기 궤도의 창업 노선으로 개업한 긴테쓰 나라선은, 이코마 산지를 신 이코마 터널로 지나 오사카부와 나라시를 최단 거리로 연결한다.[3] 개업 이후 오사카우에혼마치역을 출발역으로 했지만, 1970년 난바선 개통으로 실질적인 기점은 오사카난바역으로 옮겨졌다.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역 - 후세역 구간은 방향별 복복선으로, 나라선과 오사카선 열차가 함께 운행된다.1969년에는 전압이 1500V 직류로 증가했으며, 1970년에는 난바선이 개통되어 노선의 운행 시작역이 오사카선의 우에혼마치역에서 긴테쓰 난바역으로 변경되었다.
한신 전기 철도 한신난바선이 개통된 2009년 3월 20일부터 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여 두 역 사이를 최단 70분대로 연결한다.[73]
1977년 오사카난바역부터 야에노사토역 동쪽 오사카부도 2호선 오사카 중앙 순환선 부근까지 입체교차화가 완료되었고, 2003년에는 야에노사토역 - 효탄야마역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이 시작되었다. 2010년 5월 30일 하행선이 완성되었고, 2014년 9월 21일 상행선이 완공되면서 와카에이와역, 가와치하나조노역, 히가시하나조노역이 고가역이 되었다.[19]
문화청의 헤이조 궁 흔적 정비 사업 계획에는 나라현도 104 호 다니다 나라 선 및 긴테쓰 나라선 이설이 포함되어 있어,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주변을 포함한 지하화 또는 이설 가능성이 있다.
전 구간에서 스룻토 KANSAI 대응 카드, PiTaPa, ICOCA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J 스루 카드는 각 역 자동발매기에서 승차권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2010년 헤이조쿄 천도 1300년을 기념하여 헤이조 궁터를 가로지르는 긴테쓰 나라선에 보행자 전용 건널목 "주작문 건널목길"이 신설되었다.[22]
여객 수송은 1961년 연간 1억 명을 돌파했고, 수송력 증강을 위해 차량 대형화와 신 이코마 터널 신설이 이루어졌다.
- 연혁
연도 | 사건 |
---|---|
1914년 (다이쇼 3년) | |
1915년 (다이쇼 4년) 6월 15일: 하나조노역 개업. | |
1920년 (다이쇼 9년) 7월 13일: 누카타역 개업. | |
1921년 (다이쇼 10년) 10월 - 1922년 3월경: 닛쿠사역을 와시오역으로 개칭. | |
1922년 (다이쇼 11년) | |
1923년 (다이쇼 12년) 9월 9일: 아야메이케역 개업. | |
1925년 (다이쇼 14년) | |
1928년 (쇼와 3년) 8월: 고사카역을 다이키고사카역, 이코마역을 다이키이코마역, 나라역을 다이키나라역으로 개칭.[45] | |
1929년 (쇼와 4년) | |
1932년 (쇼와 7년) 12월: 하나조노역을 다이키하나조노역, 사이다이지역을 다이키사이다이지역으로 개칭.[45] | |
1936년 (쇼와 11년) | |
1937년 (쇼와 12년) 4월 22일: (임시) 인노미치역 휴지. | |
1938년 (쇼와 13년) 2월 1일: 다이키 에이와역 개업[46](인노미치역의 연중 영업화). | |
1940년 (쇼와 15년) 6월 1일: 와시오역을 코샤에자카역으로 개칭. | |
1941년 (쇼와 16년) | |
1942년 (쇼와 17년) | |
1944년 (쇼와 19년) | |
1947년 (쇼와 22년) 3월 27일: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아부라사카역 사이에 (임시) 캠프・카역 개업. | |
1948년 (쇼와 23년) 3월 31일: 이코마 터널 내 내리막에서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열차가 폭주. 카와치하나조노역에서 선행 열차에 추돌. 사망자 49명의 대참사가 발생 (킨테츠 나라선 열차 폭주 추돌 사고 참조). | |
1950년 (쇼와 25년) 12월 10일: (임시) 럭비 운동장 앞역을 럭비장 앞역으로 영업 재개. | |
1951년 (쇼와 26년) 7월 1일: (임시) 캠프・카역 폐지. | |
1953년 (쇼와 28년) 4월 1일: 치무라역을 토미오역으로 개칭. | |
1956년 (쇼와 31년) | |
1961년 (쇼와 36년) 9월 21일: 우에혼마치역 - 효탄야마역 간에 대형 차량 운전 개시. | |
1964년 (쇼와 39년) | |
1967년 (쇼와 42년) | |
1968년 (쇼와 43년) 3월 20일: 히가시이코마역 개업. | |
1969년 (쇼와 44년) | |
1970년 (쇼와 45년) | |
1972년 (쇼와 47년) | |
1973년 (쇼와 48년) 9월 21일: 킨테츠 난바역 - 킨테츠나라역 간에 유료 특급 운전 개시. | |
1977년 (쇼와 52년) 6월 26일: 후세역 서쪽 - 야에노사토역 동쪽 간의 고가화 완성. 이에 의해 킨테츠 난바역에서 야에노사토역 동쪽(오사카 중앙 순환선)까지 완전 입체 교차가 됨. | |
1980년 (쇼와 55년) 3월 17일: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킨테츠 난바역 간에 쾌속 급행의 일부와 특급 1편으로 간사이 사철 최초의 10량 편성 운전을 시작. | |
1982년 (쇼와 57년) 3월 18일: 킨테츠나라역 발 쾌속 급행으로 10량 운전을 시작. 그러나 동 역에서는 홈 연장 미실시로 인해 2량분 도어 컷을 시행. | |
1986년 (쇼와 61년) 3월 18일: 급행의 정차역에 이시키리역을 추가. | |
1988년 (쇼와 63년) 3월 18일: 킨테츠나라역의 홈 연장 공사 완성으로 인해 10량 편성 운전을 본격 실시. | |
1992년 (헤이세이 4년) 12월 20일: 열차 운행 관리 시스템 (KOSMOS) 가동 개시. | |
1997년 (헤이세이 9년) | |
1998년 (헤이세이 10년) 4월 1일: 승하차 확인 시스템 "페어 시스템 K" 가동 개시. | |
1999년 (헤이세이 11년) 3월 16일: 평일 낮의 한나 특급(상하 12편)을 폐지. | |
2000년 (헤이세이 12년) 3월 15일: 시리즈 21(3220계) 영업 운전 개시. 신오미야역의 홈 연장 공사(8량분→10량분)가 완성되어 쾌속 급행의 정차역에 신오미야역을 추가. 동시에 준급의 대부분을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으로 변경. | |
2001년 (헤이세이 13년) | |
2002년 (헤이세이 14년) 3월 20일: 평일 저녁에 킨테츠 난바발 킨테츠나라행 특급 2편(킨테츠 난바발 17:35, 18:35)을 증편. |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
2006년 (헤이세이 18년) 3월 21일: 준급의 정차역에 히가시하나조노역을 추가. 또한, 낮에 구간 준급을 신설. | |
2007년 (헤이세이 19년) 4월 1일: 각 역에서 PiTaPa, ICOCA의 취급 개시. | |
2008년 (헤이세이 20년) |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2010년 (헤이세이 22년) | |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6일: 평일 야간에 오사카 난바발 킨테츠나라행 특급 1편을 증편. 그 증편 열차에는 한나 특급으로는 처음으로 21020계 (어반 라이너 next)를 충당(명한갑 특급의 왕복 운행을 충당). 또한, 이날부터 디럭스 시트 요금(200엔)의 징수를 시작. | |
2012년 (헤이세이 24년) 3월 21일: 평일 아침에 야마토사이다이지발 오사카 난바행 특급 1편을 증편. | |
2013년 (헤이세이 25년) 3월 17일: 23000계(이세시마 라이너)의 한나 특급 운용을 재개. | |
2014년 (헤이세이 26년) | |
2016년 (헤이세이 28년) 3월 19일: 평일 야간대에 상행 쾌속 급행을 1편 증편. 하행 최종 구간 준급 열차를 오사카 난바 23:55발로 변경하여 행선지를 킨테츠나라행으로 변경, 오사카 난바역 - 쓰루하시역 간에서 마이오카역 이토의 종전을 6분 연장. | |
2020년 (레이와 2년) 3월 14일: 한나 특급에서 80000계 (히노토리)가 영업 운전을 시작.[57] | |
2029년 (레이와 11년): 오사카 모노레일본선의 연장에 맞춰, 야에노사토역 - 와카에이와타역 간에 우리우도역(가칭)을 설치 예정.[58] |
3. 3. 연선 개발과 변화
1914년 오사카 전기 궤도의 창업 노선으로 개통된 긴테쓰 나라선은 이코마 산지를 신 이코마 터널로 지나 오사카부와 나라시를 최단 거리로 연결한다. 개통 초기에는 오사카우에혼마치역이 출발역이었으나, 1970년 난바선 개통으로 실질적인 기점은 오사카난바역으로 변경되었다. 오사카선 오사카우에혼마치역-후세역 구간은 방향별 복복선으로 나라선과 오사카선 열차가 함께 운행된다.한신 전기 철도 니시오사카선이 오사카난바역까지 연장되어 한신난바선으로 개통된 2009년 3월 20일부터는 한신 산노미야역-긴테쓰나라역 간 상호 직통 운전이 개시되어 두 역 사이를 최단 70분대에 연결한다.[73]
1977년 오사카난바역부터 야에노사토역 동쪽 오사카부도 2호선 오사카 중앙 순환선 부근까지 입체교차화가 완료되었고, 2003년에는 야에노사토역-효탄야마역 간 연속 입체 교차 사업이 시작되었다. 2010년 5월 30일 하행선이 완성되었고, 2014년 9월 21일 상행선도 완공되어 와카에이와역, 가와치하나조노역, 히가시하나조노역이 고가역이 되었다.[19] 이로써 오사카 난바역-효탄야마역 간 완전 입체교차화가 달성되었다.
문화청의 헤이조 궁 흔적 정비 사업 계획에는 나라현도 104 호 다니다 나라 선 및 긴테쓰 나라선 이설이 포함되어 있어, 향후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주변을 포함한 지하화 또는 이설 가능성이 있다.
전 구간에서 스룻토 KANSAI 대응 카드, PiTaPa, ICOCA를 이용할 수 있으며, J 스루 카드는 각 역 자동발매기에서 승차권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1969년에는 전압이 1500V 직류로 증가했으며, 1970년에는 난바선이 개통되어 노선의 운행 시작역이 오사카선의 우에혼마치역에서 긴테쓰 난바역으로 변경되었다.
4. 운행 형태
긴테쓰 나라선은 한신 난바선과 열차를 주고받으며 운행하며, 오사카 난바역과 아마가사키역을 잇는다.[8] 쾌속 급행 열차는 한신 본선의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운행한다. 야마토사이다이지와 긴테쓰 나라역 사이에는 교토선 직통 열차도 다닌다.[8]
특급, 쾌속급행, 급행, 준급, 구간 준급,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각 열차 종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열차 종류
특급, 쾌속급행, 급행, 준급, 구간 준급, 보통 열차가 긴테쓰 나라선에 운행되고 있다. 후세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는 없으며, 이 역을 경유하는 모든 열차는 오사카선, 난바선으로 직통하여 오사카난바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특급 및 급행 이외에는 오사카난바역에서 한신 난바선으로 직통하여 아마가사키역까지, 쾌속급행은 한신 본선의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8] 천리교 제전일에는 덴리선 덴리역으로 직통하는 임시 급행도 운행된다.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긴테쓰 나라역 사이에는 교토선 열차 외에 교토선을 경유하여 직통 운전하는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의 차량도 운행한다.[8]1980년 3월, 간사이 사철에서는 처음으로 10량 편성 운전을 시작한 노선으로, 아침·저녁 러시 아워에는 8·10량 편성이 다수 운행된다. 토요일·휴일에도 10량 편성 열차가 있다. 낮 시간대에도 쾌속급행·급행은 8량 편성으로 운용된다. 다만 낮이나 야간의 상행은 6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아,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 수송력의 차이가 크다. 평일에는 나라현에서 오사카로 출근하는 통근객, 오사카나 나라 방면으로 통학하는 학생이, 토요일·휴일에는 나라나 오사카 방면으로 가는 행락객이 많다. 낮에 운행하는 급행은 평일보다 토·휴일 쪽이 증결 운전을 하기 때문에 편성이 길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평일에는 6량 편성이지만, 휴일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한신 난바선과 운행 계획이 거의 같기 때문에 한신 전기철도선과의 직통 운전에 대해서도 여기서 기술한다. 단, 특급에 대해서는 "긴테쓰 특급" 문서를,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긴테쓰 나라역 간을 운행하는 긴테쓰 교토선 계통 열차에 대해서는 "긴테쓰 교토선" 문서를 참조한다. 정차역은 편의상 오사카난바역을 기점으로 난바선·오사카선 구간을 포함한 긴테쓰선 내에 대해 기재한다.

; 쾌속급행
나라선의 주력 쾌속 등급으로, 종일 운행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저녁 시간대나 야간을 중심으로 일부 열차가 급행으로 격하되어 운행 횟수는 감소했다. 과거에는 거의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운행되었지만, 2009년 3월 한신 난바선 개통 후에는 아마가사키역 또는 고베산노미야역까지의 직통이 많아졌다. 낮에는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1시간당 평일 4편(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 2편,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 2편), 토요일, 공휴일 3편(모두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이 운행된다. 이 외에도, 소수이지만 한신 난바선 방면 또는 오사카난바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의 열차도 있다.
2016년 3월 19일 시간표 변경부터 설정된 평일 아침 하행 야마토사이다이지행(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교토발 긴테쓰나라행 급행에 연결)은, 덴리교 제전일(매월 26일)에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덴리선 덴리역행 임시 급행으로 연장 운행했었지만,[25], 2021년 7월 3일 시간표 변경 후에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덴리행 급행으로 변경되어 매일 운행하고 있다. 2021년 7월 3일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된 평일 야마토사이다이지행 2편은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가시하라진구마에행 급행 또는 보통 덴리행으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에서는 아침에 이코마발 긴테쓰나라행 쾌속급행이 새롭게 설정되었다. 이 열차 운행 구간 정차역은 급행과 동일하지만, 평일은 10량 편성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쾌속급행으로 운행된다.
긴테쓰선 내 정차역은 오사카난바역, 긴테쓰닛폰바시역,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쓰루하시역, 이코마역, 학원앞역,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신오미야역, 긴테쓰나라역이다. 특급 정차역에 긴테쓰닛폰바시역과 신오미야역이 추가된 것 뿐이며, 오사카우에혼마치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에서는 특급과 같은 정차역으로 운행하게 된다. 아침, 저녁 시간대에는 특급과 병행하는 시간표로 운행되는 열차가 있으며, 이 중 하행의 고베산노미야역, 아마가사키역 발 일부에는 오사카난바역에서 오사카난바발 특급과 연결하여 특급을 먼저 보내는 열차나,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교토발 긴테쓰나라행 특급을 기다리는 열차도 있다.
1972년 11월 시간표 변경으로, 그 전까지 운행했던 나라선 무료 특급 정차역에 이코마역과 학원앞역을 추가하는 형태로 설정되었으며, 무료 특급은 폐지되었다. 단, 1976년까지 평일 아침 러시 아워 야마토사이다이지발 긴테쓰난바행은 학원앞역, 이코마역을 통과하여, 특급보다 적은 정차역이었다.
2010년 3월 19일 시간표 변경부터, 킨키대학 부속 초등학교·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들을 위해 평일 하행 1편이 쇼부이케역에 임시 정차하고 있으며(단, 휴교일은 통과), 임시 정차하는 날은 주요 역에 게시되어 있다. 2004년 6월 이전에는, 쇼부이케역 앞에 있던 긴테쓰 아야메이케 유원지로 가는 행락객들의 편의를 위해, 토요일, 공휴일 일부 쾌속급행, 급행이 쇼부이케역에 임시 정차했었다. 그 외에도, 히가시 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에서의 이벤트 개최일에는, 가장 가까운 역인 히가시하나조노역에 일부가 임시 정차한다.
편성 량수는 최대 10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평일 낮에는 6량 편성, 아침 러시 아워에는 10량 편성, 저녁 러시 아워에는 8량 편성이다. 평일 상행 오전 9시 30분까지 오사카난바역에 도착하는 모든 쾌속급행은 마지막 차량(앞에서 10번째 차량)이 오사카난바역까지 여성 전용 차량으로 운행된다. 일부 8량, 10량 편성 열차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연결·분리를 한다.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토요일, 공휴일은 거의 전 시간대에 8량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26]。토요일, 공휴일 긴테쓰나라 15:23 발 고베산노미야행만, 긴테쓰나라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은 4량(2량 편성 2개)으로 운행하며,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뒤에 도착하는 4량(덴리발 야마토사이다이지행 급행으로, 2량 편성 2개.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쾌속급행으로 변경)을 병결한다. 한신 직통 열차에는 한신차량이나 긴테쓰의 한신 상호 운행 대응 차량이 사용되지만, 오사카난바역 발착 열차는 한신 상호 운행에 대응하지 않는 차량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012년 3월 20일 시간표 변경으로 토요일, 공휴일 아침 한신 고베 고속선 신카이치발 쾌속급행이 설정되었다[27][28]。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열차가 1시간에 2편으로 줄었지만,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열차가 1시간에 2편 신설되어,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은 1시간에 4편으로 늘었다. 또한, 평일 저녁 러시 아워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줄었다. 또한 앞서 언급한 토요일, 공휴일 아침 신카이치발 설정이 종료되어 해당 열차는 고베산노미야발이 되었다.
2025년 2월 22일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이 1시간에 2편에서 3편으로 늘지만,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1시간에 2편 운행되고 있는 쾌속급행이 폐지되므로,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은 1시간에 4편에서 3편으로 줄어,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 전 운행 형태로 돌아갈 예정이다.[29]
쾌속급행의 전신인 무료 특급은, 우에혼마치역 - 후세역 간 복복선화 공사 완공에 따른 1956년 12월 시간표 변경으로 운전을 시작했지만, 난바선 개통 전 정차역은 쓰루하시, 야마토사이다이지 2개 역 뿐이었다(공휴일 쇼부이케역 임시 정차는 무료 특급 시대에도 행해지고 있었다).
; 급행
1978년 3월, 부세역 3층 구조 개조 공사 완료에 따른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되었다.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 주로 운행하지만,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에서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 열차도 몇 편 설정되었다. 정차역은 오사카난바역, 긴테쓰니혼바시역,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쓰루하시역, 부세역, 이시키리역, 이코마역, 가쿠엔마에역,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신오미야역, 긴테쓰나라역이며, 쾌속급행과의 차이점은 쓰루하시역 - 이코마역 구간에서 부세역과 이시키리역(1986년 3월부터)에도 정차한다는 것이다. 히가시 오사카시 꽃의 럭비장에서 이벤트가 개최되는 날에는, 가장 가까운 역인 히가시하나조노역에 일부 열차가 임시 정차한다.
2004년 3월 시간표 변경까지는 낮 시간대에만 설정되었으며, 현재 토요일·공휴일 낮과 마찬가지로 쾌속급행과 번갈아 20분 간격으로 출발하는 패턴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후 저녁 시간 이후에도 쾌속급행 일부를 대체하는 형태로 설정되었으며, 준급과 통합하는 형태로 증편되었다. 하지만, 2022년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에는 쾌속급행이 증편되었기 때문에 시간당 2편으로 감편되었다.
현재는, 낮 시간대에는 시간당 평일은 쾌속급행(4편) 사이에 30분 간격으로 2편, 토요일·공휴일은 쾌속급행과 번갈아 20분 간격으로 3편 운행한다. 정기 열차는 원칙적으로 쾌속급행에 추월당하지 않으므로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 먼저 도착하지만, 일부 열차는 부세역에서 특급에 추월당한다. 이시키리역에서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 각역정차 또는 준급과 완급결합을 한다.
나라선 요금 불필요 등급에서는 유일하게, 정기 열차로 한신난바선으로 직통 운행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평일 아침에 있는 오사카난바 발 야마토사이다이지행은 고베산노미야 발 쾌속급행에서 등급이 변경된 것으로, 엄밀히는 한신선으로부터 직통이다. 그 외에도, 한신 차량과의 주행 거리 조정을 위해, 토요일·공휴일 시간표 일부는 한신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편성 차량 수는 평일 낮에는 6량 편성, 평일 저녁 이후는 8량 편성(상행 일부 6량 있음). 토요일·공휴일은 긴테쓰 차량 및 한신 차량 8량 또는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한신난바선 개통 후에도 8량 운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운용상 큰 변화는 없다. 급행 10량 운행이 없는 것은 부세역 신호기 사정과 이시키리역 홈 유효 길이가 8량분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급행은 2대째이며, 초대 급행은 1946년 3월 15일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되어, 1976년 백지 시간표 변경까지 운행되었다. 초대 급행 정차역은 쓰루하시역 - 이시키리역 간 논스톱이었으며, 이 외 구간은 각 역에 정차했다. (고샤에자카역은 당시 신이코마 터널 개통 전까지 통과했다.) 당시 히가시하나조노역을 통과했던 준급과는 부세역(당시는 나라선·오사카선 모두 준급·보통만 정차했다)과 가와치코사카역(한때 설정되었던 행락기 임시 급행은 정차했다)을 통과하는 것뿐인 차이로, 현재 급행보다 오히려 준급에 가까운 정차역 패턴이었다. 그러나, 1972년 시간표 변경으로 앞서 언급한 가쿠엔마에·이코마 통과 쾌속급행을 보완하는 형태로 평일 아침 난바행만 설정되었으며, 1976년 시간표 변경으로 준급과 통합되어 초대 급행은 소멸했다.
; 준급
: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야마토사이다이지 또는 긴테쓰 나라
; 보통 열차
: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히가시하나조노 또는 야마토사이다이지 (일부 긴테쓰 나라)
: 아침과 저녁 시간대: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효탄야마 또는 히가시이코마
: 일부: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이시키리
: 일부: 야마토사이다이지 - 긴테쓰 나라
: 1개 열차만: 이코마 → 야마토사이다이지 (오사카에서 나라행 마지막 특급 열차의 마지막 연결편)
4. 2. 운행 계통
긴테쓰 나라선은 한신 난바선과 열차를 주고받으며 운행하며, 오사카 난바역과 아마가사키역을 잇는다. 쾌속 급행 열차는 한신 본선의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운행한다. 야마토사이다이지와 긴테쓰 나라역 사이에는 교토선 직통 열차도 다닌다.[8]특급, 쾌속급행, 급행, 준급, 구간 준급, 보통 열차가 운행한다. 후세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는 없으며, 이 역을 지나는 모든 열차는 오사카선, 난바선으로 직통하여 오사카난바역 방면으로 간다. 특급 및 급행 이외에는 오사카난바역에서 한신 난바선으로 직통하여 아마가사키역까지, 쾌속급행은 한신 본선의 고베 산노미야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천리교 제전일에는 덴리선 덴리역으로 직통하는 임시 급행도 운행된다.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긴테쓰 나라역 사이에는 교토선 열차 외에 교토선을 거쳐 직통 운행하는 교토 시영 지하철 가라스마선 차량도 운행한다.
1980년 3월, 간사이 사철에서는 처음으로 10량 편성 운전을 시작한 노선으로,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8·10량 편성이 많이 운행된다. 주말·휴일에도 10량 편성 열차가 있다. 낮 시간대에도 쾌속급행·급행으로 8량 편성이 운용된다. 낮이나 야간의 상행은 6량 편성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아, 요일이나 시간대에 따라 수송력 차이가 심하다. 평일에는 나라현에서 오사카로 출근하는 통근객, 오사카나 나라 방면으로 통학하는 학생이, 주말·휴일에는 나라나 오사카 방면으로 가는 관광객이 많다. 낮에 운행하는 급행은 평일보다 주말·휴일이 증결 운전을 하기 때문에 편성이 길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평일에는 6량 편성, 휴일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쾌속급행나라선의 주력 쾌속 등급으로, 종일 운행되지만,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저녁 시간대나 야간을 중심으로 일부 열차가 급행으로 격하되어 운행 횟수가 줄었다. 과거에는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운행되었지만, 2009년 3월 한신 난바선 개통 후에는 아마가사키역 또는 고베산노미야역까지의 직통이 많아졌다. 낮에는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1시간당 평일 4편(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 2편,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 2편), 토요일, 공휴일 3편(모두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이 운행된다. 이 외에도, 한신 난바선 방면 또는 오사카난바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의 열차도 있다.
2016년 3월 19일 시간표 변경부터 설정된 평일 아침 하행 야마토사이다이지행(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교토발 긴테쓰나라행 급행에 연결)은, 천리교 제전일(매월 26일)에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덴리선 덴리역행 임시 급행으로 연장 운행했었지만[25], 2021년 7월 3일 시간표 변경 후에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덴리행 급행으로 변경되어 매일 운행하고 있다. 2021년 7월 3일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된 평일 야마토사이다이지행 2편은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도착 후 가시하라진구마에행 급행 또는 보통 덴리행으로 변경하여 운행한다.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에서는 아침에 이코마발 긴테쓰나라행 쾌속급행이 새롭게 설정되었다. 이 열차 운행 구간의 정차역은 급행과 같지만, 평일은 10량 편성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쾌속급행으로 운행된다.
긴테쓰선 내 정차역은 오사카난바역, 긴테쓰닛폰바시역,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쓰루하시역, 이코마역, 학원앞역,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신오미야역, 긴테쓰나라역이다. 특급 정차역에 긴테쓰닛폰바시역과 신오미야역이 추가되었을 뿐이며, 오사카우에혼마치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에서는 특급과 같은 정차역으로 운행한다. 아침, 저녁 시간대에는 특급과 병행하는 시간표로 운행되는 열차가 있으며, 하행 고베산노미야역, 아마가사키역 발 일부에는 오사카난바역에서 오사카난바발 특급과 연결하여 특급을 먼저 보내는 열차나,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교토발 긴테쓰나라행 특급을 기다리는 열차도 있다.
1972년 11월 시간표 변경으로, 이전까지 운행했던 나라선 무료 특급 정차역에 이코마역과 학원앞역을 추가하는 형태로 설정되었으며, 무료 특급은 폐지되었다. 단, 1976년까지 평일 아침 출퇴근 시간 야마토사이다이지발 긴테쓰난바행은 학원앞역, 이코마역을 통과하여 특급보다 정차역이 적었다.
2010년 3월 19일 시간표 변경부터, 킨키대학 부속 초등학교·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들을 위해 평일 하행 1편이 쇼부이케역에 임시 정차하고 있으며(단, 휴교일은 통과), 임시 정차하는 날은 주요 역에 게시되어 있다. 2004년 6월 이전에는 쇼부이케역 앞에 있던 긴테쓰 아야메이케 유원지로 가는 관광객들의 편의를 위해, 토요일, 공휴일 일부 쾌속급행, 급행이 쇼부이케역에 임시 정차했었다. 히가시 오사카시 하나조노 럭비장에서 이벤트 개최일에는, 가장 가까운 역인 히가시하나조노역에 일부가 임시 정차한다.
편성은 최대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평일 낮에는 6량 편성, 아침 출퇴근 시간에는 10량 편성, 저녁 출퇴근 시간에는 8량 편성이다. 평일 상행 오전 9시 30분까지 오사카난바역에 도착하는 모든 쾌속급행은 마지막 차량(앞에서 10번째 차량)이 오사카난바역까지 여성 전용 차량으로 운행된다. 일부 8량, 10량 편성 열차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연결·분리한다. 2020년 3월 14일 시간표 개정부터는 토요일, 공휴일은 거의 전 시간대에 8량 편성으로 운행한다.[26] 토요일, 공휴일 긴테쓰나라 15:23 발 고베산노미야행만, 긴테쓰나라역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간은 4량(2량 편성 2개)으로 운행하며,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뒤에 도착하는 4량(덴리발 야마토사이다이지행 급행으로, 2량 편성 2개.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서 쾌속급행으로 변경)을 병결한다. 한신 직통 열차에는 상호 운행 상대인 한신차량이나 긴테쓰의 한신 상호 운행 대응 차량이 사용되지만, 오사카난바역 발착 열차는 한신 상호 운행에 대응하지 않는 차량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012년 3월 20일 시간표 변경으로 토요일, 공휴일 아침 한신 고베 고속선 내 신카이치발 쾌속급행이 설정되었다.[27][28]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열차가 1시간에 2편으로 줄었지만,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열차가 1시간에 2편 신설되어,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은 1시간에 4편으로 늘었다. 평일 저녁 출퇴근 시간 열차가 8량 편성으로 줄었다. 앞서 언급한 토요일, 공휴일 아침 신카이치발 설정이 종료되어 해당 열차는 고베산노미야발이 되었다.
2025년 2월 22일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 고베산노미야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이 1시간에 2편에서 3편으로 늘지만,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에서 1시간에 2편 운행되는 쾌속급행이 폐지되므로,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간 쾌속급행은 1시간에 4편에서 3편으로 줄어,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 전 운행 형태로 돌아갈 예정이다.[29]
쾌속급행의 전신인 무료 특급은, 우에혼마치역 - 후세역 간 복복선화 공사 완공에 따른 1956년 12월 시간표 변경으로 운전을 시작했지만, 난바선 개통 전 정차역은 쓰루하시, 야마토사이다이지 2개 역뿐이었다(공휴일 쇼부이케역 임시 정차는 무료 특급 시대에도 있었다).
급행1978년 3월, 부세역 3층 구조 개조 공사 완료에 따른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되었다.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 주로 운행하지만, 2022년 12월 17일 시간표 변경에서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 열차도 몇 편 설정되었다. 정차역은 오사카난바역, 긴테쓰니혼바시역,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쓰루하시역, 부세역, 이시키리역, 이코마역, 가쿠엔마에역, 야마토사이다이지역, 신오미야역, 긴테쓰나라역이며, 쾌속급행과의 차이점은 쓰루하시역 - 이코마역 구간에서 부세역과 이시키리역(1986년 3월부터)에도 정차한다는 것이다. 히가시 오사카시 꽃의 럭비장에서 이벤트가 개최되는 날에는, 가장 가까운 역인 히가시하나조노역에 일부 열차가 임시 정차한다.
2004년 3월 시간표 변경까지는 낮 시간대에만 설정되었으며, 현재 토요일·공휴일 낮과 같이 쾌속급행과 번갈아 20분 간격으로 출발하는 패턴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후 저녁 시간 이후에도 쾌속급행 일부를 대체하는 형태로 설정되었으며, 준급과 통합하는 형태로 증편되었다. 하지만, 2022년 시간표 변경으로 평일 낮에는 쾌속급행이 증편되었기 때문에 시간당 2편으로 감편되었다.
현재는, 낮 시간대에는 시간당 평일은 쾌속급행(4편) 사이에 30분 간격으로 2편, 토요일·공휴일은 쾌속급행과 번갈아 20분 간격으로 3편 운행한다. 정기 열차는 원칙적으로 쾌속급행에 추월당하지 않으므로 오사카난바역 - 긴테쓰나라역 구간에서 먼저 도착하지만, 일부 열차는 부세역에서 특급에 추월당한다. 이시키리역에서는 야마토사이다이지역 발착 각역정차 또는 준급과 완급결합을 한다.
나라선 요금 불필요 등급에서는 유일하게, 정기 열차로 한신난바선 직통 운행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다만, 평일 아침에 있는 오사카난바 발 야마토사이다이지행은 고베산노미야 발 쾌속급행에서 등급이 변경된 것으로, 한신선으로부터 직통이다. 그 외에도, 한신 차량과의 주행 거리 조정을 위해, 토요일·공휴일 시간표 일부는 한신 차량으로 운행되고 있다.
편성 차량 수는 평일 낮에는 6량 편성, 평일 저녁 이후는 8량 편성(상행 일부 6량 있음). 토요일·공휴일은 긴테쓰 차량 및 한신 차량 8량 또는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한신난바선 개통 후에도 8량 운행이 지속되고 있으며, 운용상 큰 변화는 없다. 급행 10량 운행이 없는 것은 부세역 신호기 사정과 이시키리역 홈 유효 길이가 8량분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 급행은 2대째이며, 초대 급행은 1946년 3월 15일 시간표 변경으로 설정되어, 1976년 백지 시간표 변경까지 운행되었다. 초대 급행 정차역은 쓰루하시역 - 이시키리역 간 논스톱이었으며, 이 외 구간은 각 역에 정차했다. 당시 히가시하나조노역을 통과했던 준급과는 부세역과 가와치코사카역을 통과하는 것뿐인 차이로, 현재 급행보다 준급에 가까운 정차역 패턴이었다. 1972년 시간표 변경으로 가쿠엔마에·이코마 통과 쾌속급행을 보완하는 형태로 평일 아침 난바행만 설정되었으며, 1976년 시간표 변경으로 준급과 통합되어 초대 급행은 소멸했다.
기타 운행 계통
- 보통 열차:
-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히가시하나조노 또는 야마토사이다이지 (일부 긴테쓰 나라)
- 아침과 저녁 시간대: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효탄야마 또는 히가시이코마
- 일부: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이시키리
- 일부: 야마토사이다이지 - 긴테쓰 나라
- 1개 열차만: 이코마 → 야마토사이다이지 (오사카에서 나라행 마지막 특급 열차의 마지막 연결편)
- 준 급행 열차: 아마가사키 (한신) 또는 오사카 난바 - 야마토사이다이지 또는 긴테쓰 나라
- 급행 열차, 특급 열차: 오사카 난바 - 긴테쓰 나라
5. 연선 풍경
긴테쓰 나라선은 오사카부와 나라현을 잇는 노선으로, 연선 풍경이 다양하다.
히가시이코마역에서 국도 168호선을 건너 게이한나선 오른쪽으로 나뉘어 신흥 주택가 사이를 지난다. 나라시에 들어서면 도미오가와 및 나라 현도 7호선 히라카타 야마토코리야마 선을 건너 긴키 대학 (농학부)과 가장 가까운 도미오역을 지나 고급 저택가에 도착하면 가쿠엔마에역이다. 역 앞에는 역명과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된 데즈카야마 학원이 있다. 아침이나 저녁, 밤에는 데즈카야마 학원을 포함한 인근 학교 통학생과 일반 통근객으로 승강장이 붐빈다.
아야메이케역 앞의 긴테쓰 아야메이케 유원지 터를 왼쪽으로 바라보며 조금 더 가면 왼쪽에서 교토선이 합류하고 야마토사이다이지역에 도착한다. 야마토사이다이지역은 교토선과 가시하라선 열차가 교차하는 곳으로, 사이다이지 검차구가 가시하라선을 따라 위치해 있다. 3면 5선 구조로 4번 선과 5번 선은 승강장 사이에 있으며, 가시하라선에서 오사카난바 방면으로의 연결을 이 승강장에서 하도록 되어 있다. 긴테쓰나라역 방면에는 인상선이 있다. 역 주변은 긴테쓰백화점과 쇼핑 센터 등 상업 시설이 들어서 있다.
야마토사이다이지역을 나오자마자 헤이조 궁 터에 들어가 오른쪽에는 주작문, 왼쪽 안쪽에는 복원된 대극전이 보이며, 정면에는 와카쿠사 산 및 도다이지를 바라볼 수 있다. 국도 24호선 나라 바이패스를 건너면 나라 시청을 비롯한 비즈니스 센터 등이 있는 신오미야역이다. 신오미야역을 나오자마자 국도 369호선 아래의 지하 구간으로 들어가 4면 4선의 긴테쓰나라역에 도착한다. 긴테쓰나라역은 JR 나라역과 함께 나라 시의 주요 터미널 역이며, এখান থেকে 나라 교통 버스가 많이 운행된다. 나라 현청과도 가깝고, 역 동쪽으로는 도다이지 대불전과 가스가 다이샤가 있으며, 사슴들이 자유롭게 뛰어다니는 나라 공원이 있다.
5. 1. 오사카 시내 구간
오사카난바역을 출발하여 센니치마에로(路)의 지하에서 동쪽으로 달려, 긴테쓰닛폰바시역,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지하로 이동한 후 단번에 고가로 올라 오사카 순환선의 고가를 아래로 통과하면 쓰루하시역에 도착한다. 쓰루하시역 주변은 불고기 식당 등이 있는 코리아 타운이 들어서 있는 번화가이고, 점심 또는 저녁이 되면 기차까지 불고기의 고소한 향기가 올라온다. 또한 이 역의 불고기 향기는 일본 환경성이 선정한 향기 풍경 100 선에 선정되어 있다.[27]다음으로 주택, 공장, 빌딩군이 혼재하는 지역을 고가로 지나는 3면 4선의 이마자토역이다. 국도 479호선(오사카 내순환선)을 지나 고도를 올리면 나라 선의 기점인 후세 역에서 오사카선과 갈라진다.
5. 2. 히가시오사카시 구간
오사카히가시선과의 환승역 가와치에이와역, 하우스 식품 본사 소재지로 준급 정차역인 가와치코사카역, 2면 4선이 있는 야에노사토역을 지나면 오사카 중앙 순환선의 중앙을 고가로 달리는 긴키 자동차도 아래를 지난다. 그 후 왼쪽으로 2010년 3월까지 영업했던 긴테쓰 하트가 보인다. 이 긴테쓰 하트는 과거 긴테쓰 타마가와 공장 부지를 쇼핑 센터화한 것이다. 이 근처에서 선로는 지상으로 내려간다. 여기서부터 히가시하나조노역까지의 왼쪽에는 곳곳에 교각이 늘어서 있는데, 이것은 2013년 완공 예정이었던 고가화 공사의 공사 현장이다.5. 3. 이코마 산맥 구간
효탄야마 역을 나오면, 30‰ 이상의 연속 상구배가 계속되는 이코마 산을 넘는 구간으로 들어간다. 열차는 왼쪽으로 크게 곡선을 그리며 히라오카역·누카타역을 지나고 이번에는 오른쪽으로 커브한다. 두 역 사이의 경사도는 35.7‰으로 보통 철도 구조 규칙(2002년 폐지)이 정하는 최대 35‰을 넘었다.[31]이 구간에서 열차는 크게 고도를 올려가며, 왼쪽에는 오사카의 오피스 거리와 한신 고속 13 호선 히가시오사카 선, 게이한나선을 내려다 볼 수 있고, 멀리는 오사카 시내의 고층 빌딩 군과 아와지섬도 바라볼 수 있다. 이 구간은 전국에서도 드문, 열차에서 야경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곳으로, 그 아름다움 때문에 야경 전문 사이트에서도 소개되고 있을 정도이다. 이 구간은 한나 도로와 일본 도로 100 선인 구라가리고에나라 가도( 국도 308호선) 등 철도, 도로 불문하고 가파른 노선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근처는 쇼와 초기에 개발된 당시의 신흥 주택지이기 때문에, 한신처럼 같은 역사가 있는 고급 주택지가 있다.[31]
이시키리 신사로 참배가 이어지는 이시키리역을 지나면 신 이코마 터널에 들어가 3분 정도 달리면 나라현 이코마시에 들어가 3면 6선의 이코마역에 도착한다. 이 역에서 게이한나선이나 이코마선 열차와 마주한다. 역의 남서쪽에서 이코마 강삭선도 출발, 도착하고 있다.[31]
5. 4. 나라현 구간
히가시하나조노역을 지나면 온치가와와 국도 170호선(오사카 외부 환상선)을 건너 2면 4선에 중앙 통과선을 가진 신칸센형 대피역인 효탄야마역이 나온다. 효탄야마역을 나오면 30‰ 이상의 연속 상구배가 이어지는 이코마 산을 넘는 구간이 시작된다. 열차는 왼쪽으로 크게 곡선을 그리며 히라오카역, 누카타역을 지나고, 다시 오른쪽으로 커브한다. 두 역 사이의 경사도는 35.7‰로, 2002년 폐지된 보통 철도 구조 규칙이 정하는 최대 35‰을 넘는다.이 구간에서 열차는 고도를 높여가며, 왼쪽으로는 오사카의 오피스 거리와 한신 고속 13 호선 히가시오사카 선, 게이한나선을 내려다볼 수 있고, 멀리 오사카 시내의 고층 빌딩 군과 아와지섬도 볼 수 있다. 이 구간은 전국에서도 드물게 열차에서 야경을 내려다볼 수 있어, 야경 전문 사이트에도 소개될 정도이다. 한나 도로와 일본 도로 100 선인 구라가리고에나라 가도(국도 308호선) 등 철도와 도로 모두 가파른 노선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 근처는 쇼와 초기에 개발된 신흥 주택지로, 한신처럼 역사가 있는 고급 주택지가 있다.
이시키리 신사 참배객들이 이용하는 이시키리역을 지나면 신 이코마 터널에 들어가 3분 정도 달려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3면 6선의 이코마역에 도착한다. 이 역에서는 게이한나선이나 이코마선 열차와 마주치며, 역 남서쪽에서는 이코마 강삭선도 출발하고 도착한다. 히가시이코마역에서 국도 168호선을 건너 게이한나선 오른쪽으로 나뉘어 신흥 주택가 사이를 지난다. 나라시에 들어서면 도미오가와 및 나라 현도 7호선 히라카타 야마토코리야마 선을 건너 긴키 대학 (농학부)에서 가장 가까운 도미오역을 지나 고급 저택가에 도착하면 가쿠엔마에역이다. 역전에는 역명과 지역 이름의 유래가 된 데즈카야마 학원이 있다. 아침, 저녁, 밤에는 데즈카야마 학원을 포함한 인근 학교 통학생과 일반 통근객으로 승강장이 붐빈다.
6. 주요 역 정보
긴테쓰 나라선은 주요 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풍경과 시설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주요 역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오사카난바역: 한신 난바선과 직통 운행을 하며, 오사카 메트로의 미도스지선, 요쓰바시선, 센니치마에선과 환승이 가능하다. 난카이 전기 철도의 난카이 본선, 난카이 고야선 및 서일본 여객철도의 간사이 본선 (야마토지선)과도 연결된다.
- 긴테쓰닛폰바시역: 오사카 메트로의 사카이스지선 및 센니치마에선과 환승할 수 있다.
- 오사카우에혼마치역: 오사카 메트로의 다니마치선 및 센니치마에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긴테쓰 백화점 우에혼마치점이 있다.
- 쓰루하시역: 오사카 순환선 및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과 환승할 수 있다. 역 주변은 불고기 식당이 많은 코리아 타운으로 유명하며, 일본 환경성이 선정한 향기 풍경 100선에 선정될 정도로 불고기 향이 특징적이다.[1]
- 이마자토역: 3면 4선의 고가역으로, 주택, 공장, 빌딩이 혼재하는 지역을 지난다.
- 후세 역: 긴테쓰 오사카선과의 분기점으로, 나라선의 기점이다.
- 가와치에이와역: 오사카히가시선과 환승할 수 있다.
- 가와치코사카역: 준급 열차가 정차하며, 하우스 식품 본사가 근처에 있다.
- 야에노사토역: 2면 4선의 역이다.
- 와카에이와타역
- 가와치하나조노역
- 히가시하나조노역: 준급 열차가 정차하며, 히가시 오사카 하나조노 럭비 경기장과 가깝다. 대규모 행사 시에는 쾌속 급행과 급행도 임시 정차한다.
- 효탄야마역: 2면 4선에 중앙 통과선을 가진 신칸센 형태의 대피역이다.
- 히라오카역
- 누카타역
- 이시키리역: 이시키리 신사 참배객들이 이용한다.
- 이코마역: 긴테쓰 게이한나선, 긴테쓰 이코마선, 긴테쓰 이코마 강삭선과 환승할 수 있다.
- 히가시이코마역: 테즈카야마 대학 히가시이코마 캠퍼스가 근처에 있다.
- 도미오역: 긴키 대학 농학부와 가깝다.
- 가쿠엔마에역: 데즈카야마 학원이 역 앞에 있으며, 통학 수요가 많다.
- 아야메이케역: 긴키 대학 부속 초등학교 및 유치원 등교일에 일부 급행 열차가 임시 정차한다.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긴테쓰 교토선, 긴테쓰 가시하라선과 교차하며, 사이다이지 검차구가 있다. 역 주변에는 긴테쓰 백화점 등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다.
- 신오미야역: 나라 시청을 비롯한 비즈니스 센터가 근처에 있다.
- 긴테쓰나라역: 나라 공원과 가깝고, 도다이지, 가스가 다이샤 등 주요 관광지로 연결된다.
노선 이름 | 번호 | 역 이름 | 일본어 | 구간 준급 | 준급 | 급행 | 쾌속 급행 | 특급 | 환승 | 소재지 | |
---|---|---|---|---|---|---|---|---|---|---|---|
한신 난바선으로 직통 운행: | colspan=8 | | ||||||||||
난바선 | A01 | 오사카난바역 | 大阪難波 | ● | ● | ● | ● | ● | 주오구, 오사카시 | 오사카부 | |
A02 | 긴테쓰닛폰바시역 | 近鉄日本橋 | ● | ● | ● | ● | ● | 오사카 메트로 (닛폰바시) | |||
A03 | 오사카우에혼마치역 (긴테쓰 백화점 우에혼마치점) | 大阪上本町 | ● | ● | ● | ● | ● | 오사카 메트로 (다니마치큐초메) | 덴노지구, 오사카시 | ||
오사카선 | |||||||||||
A04 | 쓰루하시역 | 鶴橋 | ● | ● | ● | ● | | | JR 서일본 오사카 순환선 (JR-O04) 오사카 메트로 센니치마에선 (S19) | 이쿠노구, 오사카시 | ||
A05 | 이마자토역 | 今里 | | | | | | ||||||||
A06 | 후세역 | 布施 | ● | ● | ● | | | rowspan=2 | | 긴테쓰 오사카선 (D06) | 히가시오사카시 | ||
나라선 | |||||||||||
A07 | 가와치에이와역 | 河内永和 | | | | | | JR 서일본 오사카히가시선 (JR-F10:JR 가와치에이와역) | |||||||
A08 | 가와치코사카역 (오사카 상과대학, 오사카 쇼인 여자대학 앞) | 河内小阪 | ● | ● | | | | ||||||
A09 | 야에노사토역 | 八戸ノ里 | | | | | | ||||||||
A10 | 와카에이와타역 | 若江岩田 | | | | | | ||||||||
A11 | 가와치하나조노역 | 河内花園 | | | | | | ||||||||
A12 | 히가시하나조노역 (하나조노 럭비 경기장 앞) | 東花園 | ● | ● | ▲ | ▲ | | | ||||
A13 | 효탄야마역 | 瓢箪山 | ● | | | | | |||||||
A14 | 히라오카역 | 枚岡 | ● | | | | | |||||||
A15 | 누카타역 | 額田 | ● | | | | | |||||||
A16 | 이시키리역 | 石切 | ● | ● | ● | | | |||||
A17 | 이코마역 | 生駒 | ● | ● | ● | ● | ● | 이코마시 | 나라현 | ||
A18 | 히가시이코마역 (테즈카야마 대학 히가시이코마 캠퍼스) | 東生駒 | ● | ● | | | | ||||||
A19 | 도미오역 | 富雄 | ● | ● | | | | 나라시 | |||||
A20 | 가쿠엔마에역 (테즈카야마 학원 앞) | 学園前 | ● | ● | ● | ● | | | ||||
A21 | 아야메이케역 (긴키 대학 부속 초등학교・유치원 앞) | 菖蒲池 | ● | ● | | | ※ | | | ||||
다음과 직통 운행: | 야마토사이다이지에서 출발: | ||||||||||
나라선 | A26 | 야마토사이다이지역 | 大和西大寺 | ● | ● | ● | ● | ● | 나라시 | 나라현 | |
A27 | 신오미야역 | 新大宮 | ● | ● | ● | ● | | | ||||
A28 | 긴테쓰나라역 (나라 공원 앞) | 近鉄奈良 | ● | ● | ● | ● | ● |
6. 1. 난바선 구간
오사카시(긴테쓰 백화점 우에혼마치점)
오사카시